프로그래밍에서는 터치 타이핑이 중요합니다. 빠른 입력 기술을 사용하여 JavaScript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.
JavaScript 프로그래밍 및 터치 입력
JavaScript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,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모두에서 활용됩니다. 유연하고 동적이며 끊임없이 발전하는 언어입니다. 하지만 JavaScript로 코드를 작성하는 일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. 공백이 문법의 일부인 Python이나, 강한 타입 지정과 장황한 표현이 특징인 Java와 달리, JavaScript는 그 중간쯤에 위치합니다. 비교적 관대하면서도 작은 함정이 많습니다. 세미콜론을 빠뜨리거나, 불필요한 쉼표를 넣거나, 중괄호를 닫지 않으면 프로그램 전체가 멈출 수 있습니다. 하루에 몇 시간씩 키보드 앞에 앉아 있는 개발자에게 정확성은 필수적입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실수를 줄이고, 피로를 완화하며, 키보드 입력이 아니라 코드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
동적 타이핑과 변수 선언
JavaScript는 동적 타이핑 언어로, 변수에 어떤 값이든 담을 수 있고 실행 중에 타입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. 이러한 유연성은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, 동시에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변수 선언 시에는 let
, const
를 일관되게 사용하고, var
는 (현재는 권장되지 않음)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각 키워드마다 스코프 규칙이 다릅니다. 작은 오타나 잘못된 선택이 찾기 어려운 버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const
와 let
을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으며, 올바른 키워드를 선택하는 습관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// 변경될 수 있는 변수에는 let 사용
let counter = 0;
counter++;
// 상수에는 const 사용
const PI = 3.14159;
// var는 현대 코드에서 피해야 함
var legacy = "구식 스타일";
세미콜론과 자동 삽입
JavaScript의 가장 논란이 많은 특징 중 하나는 세미콜론 자동 삽입입니다. 많은 문장이 세미콜론 없이도 작성될 수 있지만, 생략하면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예는 return
뒤에 값을 다음 줄에 작성할 때인데, JavaScript는 이를 return;
으로 해석합니다.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세미콜론을 항상 명시적으로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 반복적인 작은 동작도 자연스럽게 습관화됩니다.
// 위험: undefined 반환
function bad() {
return
{
name: "철수"
};
}
// 올바름: 세미콜론으로 값이 반환됨
function good() {
return {
name: "철수"
};
}
객체와 JSON
JavaScript는 객체 중심 언어입니다. 객체 리터럴에는 중괄호 {}
, 콜론 :
, 쉼표 ,
가 정확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. JavaScript 객체 문법을 기반으로 하는 JSON은 엄격하여, 쉼표 하나만 잘못 들어가도 파일 전체가 무효가 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러한 기호 입력을 자동화하면 데이터 구조 자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
// 객체 리터럴
const user = {
id: 1,
name: "철수",
active: true
};
함수: 선언, 표현식, 화살표 함수
JavaScript에서는 함수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 고전적인 선언, 익명 함수 표현식, 화살표 함수 등이 있습니다. 화살표 함수는 =>
를 사용하는데, 이 입력은 쉽게 실수할 수 있습니다. 초보자는 괄호를 빼먹거나 화살표를 잘못 배치하곤 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 패턴을 습관화할 수 있습니다. 또한 JavaScript는 기본 매개변수, rest 매개변수 (...args
), 매개변수 구조 분해도 지원합니다. 언어가 표현력이 풍부해지는 만큼 입력 정확성도 요구됩니다.
// 고전적인 함수
function greet(name) {
return "안녕하세요 " + name;
}
// 화살표 함수
const greetArrow = (name) => "안녕하세요 " + name;
// 기본 매개변수와 rest 매개변수
function log(message = "Info", ...args) {
console.log(message, args);
}
클로저와 콜백
JavaScript의 특징 중 하나는 클로저입니다. 함수는 외부 스코프의 변수를 "캡처"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강력한 기능이지만, 루프나 비동기 코드에서는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콜백을 작성하다 보면 중괄호와 괄호가 많아지게 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러한 반복 구조도 원활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// 변수를 캡처하는 클로저
function makeCounter() {
let count = 0;
return function() {
count++;
return count;
};
}
const counter = makeCounter();
console.log(counter()); // 1
console.log(counter()); // 2
비동기 코드: 콜백, Promise, async/await
JavaScript는 처음부터 비동기 작업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. 초창기에는 콜백을 사용했지만, 현재는 Promise와 async/await
가 널리 쓰입니다. 각각 입력할 때의 특성이 있습니다. 콜백은 중괄호가 많고, Promise는 .then()
체인을 요구하며, async/await는 새로운 키워드를 사용합니다. 타자 연습을 꾸준히 하면 try { ... } catch(e) { ... }
나 await fetch(...)
같은 반복 패턴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// Promise 사용 예시
fetch("/api/data")
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.then(data => console.log(data))
.catch(err => console.error(err));
// async/await 사용 예시
async function loadData() {
try {
const response = await fetch("/api/data");
const data = await response.json();
console.log(data);
} catch (err) {
console.error(err);
}
}
스타일과 코딩 규칙
Python에서 "pythonic"이라는 개념이 있듯이, JavaScript에서는 Airbnb, StandardJS, Google과 같은 스타일 가이드가 자주 논의됩니다. 들여쓰기(스페이스 2개 또는 4개), 세미콜론 사용, 명명 규칙(변수는 camelCase, 클래스는 PascalCase), 줄 길이 등이 다뤄집니다. ESLint나 Prettier 같은 도구는 이러한 규칙을 강제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화살표 함수, 메서드 체인 등 반복적인 패턴을 입력할 때도 규칙을 자연스럽게 지킬 수 있습니다.
자주 발생하는 구문 오류
JavaScript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에는 템플릿 문자열에서 backtick을 닫지 않는 것,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혼동하는 것, 괄호를 닫지 않는 것 등이 있습니다. 보간을 포함한 템플릿 문자열 ${...}
은 강력하지만, backtick, 달러 기호, 중괄호라는 정확한 순서가 필요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러한 입력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.
// 보간을 사용하는 템플릿 문자열
const name = "철수";
console.log(`안녕하세요, ${name}!`);
클래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ES6 이전의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을 사용했습니다. 현재는 클래스 문법이 도입되었지만,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프로토타입이 동작합니다. 클래스를 작성할 때는 constructor
, super
, function
키워드가 없는 메서드 정의가 필요합니다. this
를 빠뜨리거나 중괄호를 잘못 배치하는 것은 흔한 실수입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이러한 반복 구조도 더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 Java와 마찬가지로 JavaScript에서도 클래스 이름은 PascalCase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, 일관성이 요구됩니다.
class Animal {
constructor(name) {
this.name = name;
}
speak() {
console.log(`${this.name} 소리를 냅니다.`);
}
}
class Dog extends Animal {
speak() {
console.log(`${this.name} 짖습니다.`);
}
}
모듈과 import
현대 JavaScript는 import
와 export
를 사용하는 ES 모듈을 채택합니다. 종종 긴 경로나 중괄호가 포함됩니다. 예를 들어 import { readFile, writeFile } from "fs";
와 같은 문장을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중괄호와 따옴표 입력이 자연스러워집니다.
import { readFile, writeFile } from "fs";
import express from "express";
정리
JavaScript는 동적이고 유연하며 표현력이 풍부한 언어입니다. 문법에는 중괄호, 대괄호, 콜론, 쉼표, 세미콜론, backtick 등 다양한 기호가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입력은 끊임없는 도전입니다. Java에 비해 장황하지 않지만, 작은 함정이 많습니다. Python처럼 들여쓰기를 강제하지는 않지만, 커뮤니티는 일관된 포맷을 기대합니다. 타자 연습을 통해 개발자는 이러한 요구를 더 잘 충족할 수 있습니다. 오류를 줄이고, 화살표 함수나 import 문과 같은 반복적인 패턴을 더 빨리 작성하며, 프로그램 설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 매일 JavaScript를 작성하는 사람에게 타자 연습은 단순한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, 명확성, 신뢰성, 그리고 처음부터 동작하는 코드를 의미합니다.